[swift] Function
·
swift
함수 (Function) 함수는 독립적인 코드 블록으로,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값을 반환하거나 부가적인 기능을 한다. 전역 범위에서 정의되거나 특정 타입 내에 포함될 수 있다. 함수는 'func'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되며, 함수 이름, 파라미터, 반환 타입 및 실행할 코드를 포함한다. 메서드 (Method) 메서드는 특정한 타입에 속함 함수로, 해당 타입의 인스턴스에 의해 호출된다. 메서드는 해당 타입의 인스턴스에 대해 작동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. 메서드는 함수와 비슷한 구문을 가지지만, 특정 타입에 속해 있으며 해당 타입의 인스턴스를 수정할 수 있다. 함수 선언 함수 이름은 유니크해야 한다. 파라미터와 반환 유형은 선택적이다. (없어도 된다.) func 함수이름(파라미터1: 타입, 파라미터2: ..
[iOS] View LifeCycle
·
iOS
View LifeCycle (뷰 생명주기) iOS 개발에서 뷰 컨트롤러는 애플리케이션 내부 구조의 기초이다. 뷰 컨트롤러는 스토리보드에 있는 모든 뷰의 부모이다. 각 UIKit 애플리케이션에는 최소한 하나의 ViewController가 있다.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부분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. ViewController가 뷰 계층 구조에 추가되면 함수는 다음 순서로 호출된다. viewDidLoad() viewDidLoad 메서드는 뷰 컨트롤러의 뷰가 메모리에 로드된 직후 호출된다. 일반적으로 한 번만 호출되며, 뷰의 초기화 및 초기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. 데이터 로딩이나 화면 갱신과 관련된 작업은 주로 이 시점에서 수행된다. viewWillAppear(_:) viewWillAp..
[iOS] Cocoa Touch Framework
·
iOS
Cocoa Touch 아이폰, 아이패드 및 아이팟 터치용 API이다. 다른 말로는 코코아 터치 계층(Cocoa Touch Layer)이라고도 한다. 참고 "Cocoa"라는 용어는 Objective-C 런타임을 기반으로 하고 루트 클래스인 NSObject를 상속하는 모든 클래스 또는 객체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. 또한 각 플랫폼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칭할 때 "Cocoa" 또는 "Cocoa Touch"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 - Apple Developer Document - Sub Frameworks 1. UIKit UIKit은 iOS 및 tvO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. 버튼, 레이블, 테이블 뷰, 컬렉션..
[swift] Loops
·
swift
swift에는 여러가지 반복문이 존재한다. 여기엔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하는 while,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의 다른 분기를 실행하는 if, guard, switch, 실행 흐름을 코드의 다른 지점으로 전송하는 continue, break와 같은 제어문이 포함된다. For-In Loops (for문) 배열의 항목, 숫자 범위 또는 문자열의 문자와 같은 시퀀스를 반복할 때 사용한다. 딕셔너리를 반복하여 key-value에 접근할 수도 있다. 위와 같은 경우엔 튜플로 값이 반환되고, 딕셔너리는 순서가 없으므로 반복문을 돌린다고 해서 순서대로 출력되지 않는다. let names = ["Kim", "Park", "Lee"] for name in names { print("Hello, \(name)!") } //..
[swift] Collection
·
swift
array (배열) 배열이란 여러 개의 데이터를 담아 놓는 변수이다. [ ]를 사용하여 선언한다. 배열 내부의 값에 접근하기 위해선 index를 사용해야한다. (index는 0부터 시작) // 빈 배열도 선언 가능하다. 배열의 선언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난 이 방법이 가장 편해서 사용했다. var emptyArr: [String] = [] var tempArr: [String] = ["Kim","Park","Lee","Sim"] print("\(tempArr[0])") // Kim 출력 dictionary (딕셔너리) 딕셔너리란 배열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지만 각각의 값이 key값을 들고 있는 형태의 변수이다. 배열과 다르게 index로 접근하지 않고 key값을 통해 접근한다. 접근하고 싶은 key..